Ⓝ 다양함을 위한 진화
유대인에게서 전해져 오는 탈무드에서 신이 사람의 얼굴을 서로 다르게 만든 이유는
각자의 다양성과 창조성을 강조하고 그 중요성을 온 세상에 드러내기 위함이라고 합니다. 어쩌면 사람들은 자신의 아이덴티티를 표출하는 것은 본능일 겁니다. 그렇기에 사람들은 같은 공산품을 구매 하면서도 그것에 자신의 개성이 표현 된 제품에 애착을 갖는 것 아닐까요. 그런 이유에서 패션 쪽에서는 커스터마이징이 오래전부터 자리 잡혀 있었습니다.
한편 뷰티업계는 그런 사람의 본능적이고 다양한 요구를 반영하기 위해 지금까지 아무런 시도를 안 했던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커스터마이징의 접점을 어디로 할지, 원료 배합 후 안정성 문제, 화장품 전성분 표시의 문제, 화장품을 소분하면서 생길 수 있는 위생 문제, 완제품의 기준 등 현실적인 난관에 봉착하곤 했었습니다. 하지만 드디어 세계 최초로 한국에서 2020년 3월 14일 부터 맞춤형화장품을 위한 제도가 적용됩니다.
맞춤형화장품판매업
'맞춤형화장품'이란 첫 번째로 제조 또는 수입된 화장품에 다른 화장품의 내용물 혹은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정하는 원료 내에서 개인 피부 타입과 기호에 맞게 배합하고, 색깔을 변형하는 공정을 거친 화장품을 말하고 두 번째로는제조 또는 수입된 화장품의 내용물을 소분한 화장품을 가리킵니다.
그런 '맞춤형화장품'을 판매하기 위해 사업장에서는 '맞춤형화장품판매업'을 등록해야 합니다. 등록을 위한 조건은 '맞춤형화장품제조사'를 채용해야 하고 '맞춤형화장품제조사'는 '맞춤형화장품조제관리사'를 취득해야 합니다. 조제관리사 1회 시험은 2020년 2월 22일에 진행되었고 2회 시험은 추후 공지될 예정입니다.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
'맞춤형화장품조제관리사' 자격시험은 식약처에서 처음으로 실시하는 화장품 분야의 국가자격시험입니다. 응시 자격과 인원은 제한 없으며 시험은 필기시험만 있으며 네 과목으로 나눠져 있습니다.
과목 명 | 문항수 | 배점 | |
제1과목 | 화장품법의 이해 | 선다형 7문항 / 단답형 3문항 | 100점 |
제2과목 | 화장품 제조 및 품질관리 | 선다형 20문항 / 단답형 5문항 | 250점 |
제3과목 | 유통 화장품 안전관리 | 선다형 25문항 | 250점 |
제4과목 | 맞춤형 화장품의 이해 | 선다형 28문항 / 단답형 18문항 | 400점 |
오전 9시 입실 후 시험 시간은 09:30~11:30으로 2시간 동안 치러지며,시험은 절대평가로 전 과목 총점(1,000점)의 60퍼센트(600점) 이상의 점수와 매 과목 만점의 40퍼센트 이상의 점수를 모두 득점해야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습니다. 응시료는 100,000 원이며 시험 내용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license.kpc.or.kr/nasec/qplus/main.do?qtype=qplus&qcertiCode=CCMM
맞춤형화장품 조제관리사 자격시험
license.kpc.or.kr
한편 프랑스에서는 맞춤형화장품에 대한 별도의 정책은 없지만 'LOREAL'에서 'Perso'라는 디바이스가 2021년 정식 출시 예정입니다. 스마트 폰에 얼굴을 스캔해서 그 날 피부 컨디션과 날씨 데이터를 기반으로 파운데이션을 집에서 제작 할 수 있는 기기 입니다. 그 제품이 뷰티 커스터마이징에 어떤 영향을 줄지 기대됩니다. 또한 한국도 정책을 기반으로 다채로운 화장품이 맞춤형 서비스화가 되어 K Beauty를 이끌어 가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