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컨디셔닝제

(2)
Ⓘ 글리세린 (Glycerin) 글리세린(Glycerin)을 글리세롤(Glycerol) 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화장품, 관장용 좌약, 식품 첨가물, 윤활제, 방부제 등 광범위하게 쓰이는데요, 그 중 화장품에는 변성제, 착향제, 헤어컨디셔닝제, 피부컨디셔닝제(보습제), 피부보호제, 점도감소제로 사용 됩니다. 글리세린은 모든 동물, 식물성 지방과 기름에서 복합적으로 발생합니다. 그러한 지방들의 자유상태에서 거의 찾아볼 수 없지만, 보통 스테아릭, 올레익, 팔미트, 그리고 라우르미트 등의 지방산과 결합된 트리글리세리드로 나타납니다. 코코넛, 야자수 알맹이, 콩, 올리브유와 같은 식물성 기름은 라드 같은 동물성 지방보다 더 많은 양의 글리세롤을 생산하고 글리세롤 또한 레시틴과 세팔린과 같은 지질 형태의 모든 동물 및 식물에서 자연적으로 발생..
Ⓘ 정제수 Water (Aqua) 전에 한번 이런 얘기를 들은 적이 있습니다. 정제수 자체는 유효 성분이 없어서 피부에 유익한 효과가 있는게 아닌데, 왜 화장품에서 90%나 차지하는지 모르겠다고 하는 분이 있었습니다. (수분보충 외에. 아, 물론 수분보충 만으로도 피부를 충분히 유익 하게 할 수 있지만요) 위 글처럼 정제수는 색조를 제외한 대부분의 화장품에 60~70%에서 많게는 90% 함유 되어있습니다. 하지만 커피와 오미자차 모두 물 함량이 90% 이상 이지만 커피는 이뇨작용을 하고 오미자차는 수분 보충을 해줍니다. 또한 우리가 가루약을 입에 털어 넣고 물을 들이키는것 처럼 정제수는 화장품에 있는 유효성분을 피부에 전달하는 매개체 역할을 하고 함량에 따라 제형의 타입이 결정 되기도 합니다. 화장품에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만큼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