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화장품

 

 

코로나 19 이후로 내일 당장 친구를 만나는 일부터 정책까지 많은 것이 바꾸었습니다.

제가 겪었던 코로나 19의 첫 번째 변화는 F1 관람을 못 가게 된 것입니다. 하지만 그건 시작에 불과했습니다. 집 앞 편의점을 갈 때도 마스크를 쓰고 기침 한번 하려고 하면 눈치 보기 일쑤입니다. 비단 저뿐만 아니라 온 세상 사람들이 크고 작은 변화(변화라고 표현 하기도 송구스러울 만큼 슬프고 힘든 일들)를 겪고 있는 지금 이 바이러스가 잠잠해지더라도 앞으로는 이 전으로 돌아가기는 어려울 거라고 많은 전문가들이 예견합니다. 그렇기에 이미 포스트 코로나 시대가 도래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겁니다. 이제 사회와 개인은 탄력적으로 생활방식을 혁신해야 이 변화에 적응을 넘어 뉴 노멀(New Normal)을 재시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런 시기에 화장품 업계는 어떤 변화를 겪게 될까요?

 

 

제품 : #안티폴루션 #피부메이크업 #아이포인트메이크업 #소독제

 

 

코로나 19는 처음 출연했을 때 보다 잠잠해졌지만 겨울이 오면 다시 대유행하려고 예견하고 있습니다. 그렇게 마스크 착용이 장기화되면서 피부 마찰과 높은 습기, 온도에 의한 접촉성 피부염 등 자극을 진정시킬 안티폴루션, 저자극 라인을 찾는 소비자가 늘어날 것이라고 장업계는 예견하고 있습니다.

또한 피부 화장은 마스크에 묻어나지 않고 얇게 발릴 수 있는 파운데이션과 쿠션을 코스맥스에서 개발했다고 합니다.

색조의 경우 눈 아래로는 가리는 시간이 많다 보니 눈을 강조하는 아이 메이크업을 많이 하게 되면서 마스크 위로 올라오는 습기에도 번지지 않을 아이라이너와 마스카라를 한국콜마에서는 개발했다고 합니다. 반면 립은 마스크에 묻어나지 않게 하기 위해 립글로스보다는 틴트의 소비가 늘 것입니다.

소독제는 화장품에서 주 영역이 아니였습니다. 하지만 이번 사태를 계기로 코스맥스에서도 생산라인을 구축했다고 합니다. 앞으로 손 소독제 외에도 개인 방역제품 라인이 더 개발되지 않을까요?

 

 

 

마케팅 : #MCN #인플루언서 #온라인콘텐츠 #라스트핏

 

 

마이크로소프트 CEO 사티아 나델라는 지난 4월 29일 1분기 실적을 발표하며 "우리는 (코로나 19의 영향으로) 단 2개월 만에 2년 치에 해당하는 디지털 전환이 이뤄지는 걸 봤다"고 했습니다. 그만큼 디지털 세계는 급변하고 있고 이제는 수업도 콘서트도 온라인으로 합니다. 집에서 보내는 시간도 늘어나면서 온라인인 시간도 상대적으로 늘어났습니다. 또한 제공되는 콘텐츠를 일괄적으로 소비하는 것을 넘어 각자 원하는 것을 찾습니다. 그렇게 시장은 세분화되었고 빅 데이터가 쌓이면서 원하는 타깃 소비자에게 더욱 집중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렇게 집중되고 비대면으로 구매하기에 라스트핏(소비자와의 마지막 접점)까지 감동을 주어 긍정적인 소비자 경험이 또 다른 마케팅이 되어 선순환이 될 것입니다.

또한 유튜브의 성장과 함께 MCN(Multi Chanle Network) 시장도 꾸준히 성장하고 있습니다. 브랜드 사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컨셉이 일치하는 인플루언서를 통한 온라인 콘텐츠를 제공 함으로써 소비자에게 다가갈 수 있습니다. 

 

 

 

유통 :  #언택트 #온라인 #SNS #플랫폼

 

무인 편의점 Amazon go

코로나 19로 인해 백화점이나 대형마트 등 오프라인 매출은 줄어든 반면 온라인 매출은 늘어났다고 합니다. 그렇게 소비의 흐름이 변화되면서 온라인 옵션이 없는 사업은 큰 타격을 입었고 기존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업체들은 온라인 서비스를 강화시키고 있습니다. 아모레퍼시픽 또한 “코로나 19 영향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채널에서의 경쟁력 확보 및 성장의 기반을 마련했다.” 면서 "국내외 디지털 체질개선을 통해 실적 개선을 할 것이다."는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오프라인의 경우 얼마 전 까지만 해도 터치 스크린 결제의 편리성으로 보급이 많이 되었지만 코로나 19를 전염시킬 수 있는 매개체로 인식하게 되면서 터치 스크린 및 머신 인터페이스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됩니다. 일찌감치 아마존은 모바일 장치를 통한 비접촉식 결제 옵션이 출시되었습니다. 접촉을 최소화하려는 사회 인식이 짙어지면서 물리적 접촉이 필요 없는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지불 옵션이 관심을 끌 것입니다.

또한 하늘길이 막히면서 수출이 까다로워지고 자국 주위로 변할거라는 의견이 있지만 이 부분만은 일시적인 현상이길 바랍니다.

 

코트라는 향후 미래시장을 예측하는 중국 유망분야 키워드로 'H.O.M.E.'을 제시했습니다.

Healthcare : 건강과 방역에 대한 인식 제고로 떠오른 ‘헬스케어’

Online : 인공지능, 빅데이터, 5G 기술을 토대로 디지털 경제의 핵심이 된 ‘온라인’

Manless : 방역 과정에서 안전성과 효율성이 검증된 ‘무인화’

Economy at Home : 집에서 머무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형성된 ‘홈코노미’

 

 

저는 코로나로 인해 우리가 생각하던 미래의 방향이 틀어진 것 이 아니라 그 방향으로 가속화되었다고 생각합니다. 그렇기에 이 또한 현명하게 해결해 나갈 거라 믿습니다.

 

코로나 바이러스와 싸우고 있는 의료진 여러분께 정말 감사드립니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다양함을 위한 진화  (9) 2020.03.14
Ⓝ CRUELTY FREE ≠ VEGAN  (0) 2020.01.30
Ⓝ About BPI & S  (0) 2020.01.23